임신과 분만이 골반에 미치는 영향


임신과 분만이 골반에 미치는 영향

임신 때 복부에서 일어나는 해부학적 변화와 허리골반의 수동적  시스템, 능동적 시스템, 그리고 컨트롤 시스템에  대한 힘이나 외상을 고려하면 해부학적이고 기능적인 면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난다

임신과  분만중에 이러한 변화들이 골반의 기능과 산모의 내장 기관에는 어떠한 영향을 줄까 알아보자



<차례>

1. 수동적 시스템

2. 능동적 시스템

  1)백색선과 복직근이개

  2)골반내주의 근막-질 주위와 직장질의 결함

3. 컨트롤 시스템

4. 장기




1. 수동적 시스템

임신 중에는 골반거들의 관절인 천장관절과 치골결합 인대가 느슨해지면서 이완이 일어난다.
임신 중  천장관절의 이완이 증가 되면 골반통 간에는 통계학 적으로 상관 관계가 없다고 하지만 임신 중 천장관절의 비대칭적인 이완과 골반통과는 상관 관계가 있다

하지만 어떤 학자는 임신과 관련한 호르몬 레벨과 관절의 이완 상태와의 상호 연관 관계를 찾지 못했다고 한다
따라서 임심 중 골반관절 이완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 모순이 되는 충돌이 일어난다.

또 다른 학자는 관절가동성이 체중의 증가 되고 임신으로 복내압이 증가 되는 시기이므로 관절 가동성이 증가 될 수 있다 고도 한다.




2. 능동적인 시스템

복벽과 허리, 골반저의 근막은 몸통을 통한 하중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복부의 전방 근막, 백색선과 골반 내부의 근막은  임신 기간 이나 분만 할 때 과도한 스트레칭으로 인해 파열이 일어날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백색선과 복직근이개

임신 중에 복부의 팽창으로  인해 특별히 영향을 크게 받는 것이 백색선 이며 결합 조직 복합체는 좌 우측 복근을 서로 연결하고 있다
Rath에 따르면 45세이하 여성의 경우 배꼽과 검상돌기의 중간 지점에서 양 복직근의 사이의 거리는 1cm이하이고,배꼽 바로 위 부분에는 2.7cm이어야 하고,치골결합부와 배꼽의 중간 지점에서는 0.9cm 이어야 한다
이 수치의 폭이 넘어설 때에 진단 되어지는것이 복직근 이개이다

출산 후 1주-8주 정도 되어지면 현저히 줄어든다고 하지만 트레이닝이나 물리치료가 없이 계속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임산부 중 52%가 복직근 이개의 증상이 있고 요실금증이 있다고 보고 되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여성의 66% 골반저근의 기능 부전, 배변 실금, 자궁 탈출증이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런데 아직 까지 복직근 이개 현상을 가지고 있는 산모에게 가장 좋은 치료에 대한 연구 자료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현재 로써의 복직근 이개 치료의 방법은 복강 내압의 상승으로 전 후방에 있는 근막 시스템의 긴장 증가에 의해 허리 골반의 안정화를 촉진 시키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골반 내주 근막 - 질 주위와 직장 질의 결함

골반 바닥의 근막은 골반 기저의 기능과 골반 내부 장기의 지지를 위해 매우 복합적이고도 중요한 구조물이다.

골반 내부 근막의 손상은 대부분 자연 분만 과정에서 일어난다
자연 분만의 36%는 치골 내 장기를 연결하는 근육에 박리 파열이 일어나고 출산 스트레스성 요실금은 이 근육의 박리 파열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이 결손은 때때로 방광 탈출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자연 분만으로 직장 질근막의 외측 종지점은 치골직장근으로부터 박리 파열될 것이며 횡 파열은 신생아가 머리를 비집고 나올 때 근막이 열려지게 된다
그리고 직장질 근막이 회음부 체로 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분리는 카디날과 자궁천골인대, 직장질격막의 연결을 하는 회음부체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그 결과 기능이 상실하게 되어진다.

자연분만을 통해 근막의 결손과 질 주변의 결함,배뇨 자체의 문제도 발생하게 되어진다

결론적으로 요약을 하면
골반 내부의 근막과 관련된 근육들이 전 후방에서 발생하는 결함은 수많은 산모들에게 나타났으며 근막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장기의 지지와 배뇨 자제, 그리고 자세의 지지/컨트롤에 중대한 문제가 발생되어지는 결과를 볼 수 있다






3. 컨트롤 시스템

항문 거근의 활성도에 대해 근 전도로 체크를 결과를 보면 반복적인 팔을 움직여줌으로써 자세의 동요를 일으키는 패러다임을 사용하였는데 이때에 삼각근에서 어떠한 활동도 감지 되기전에 골반 저근의 상승된 활성화를 볼 수 있었다
항문 거근 활성화는 팔의 움직임의 방향과는 무관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항문의 압력이 증가한 후 복내압이 증가하였는데, 항문의 압력을 복강으로 부터 압력이 전달된 것이 아니라 항문 거근의 자체의 수축의 의한 것이다
하지만 부드러운 호흡 에서의 항문 거근의 수축은 복횡근과 연결되어 있어 강하게 활성화가 되었다


건강한 임산부의 심부 근육은 서로 시너지를 이루면서 계속해서 기능을 해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4. 장기

골반 내 장기는 S결장, 자궁, 방광, 그리고 이것들을 서로 연결하고 지지해주는 모든 인대와 근막들이다.

 
골반 장기의 위치가 변화되어진다
1)인대나 근막의 이완, 파열 또는 시스템의 긴장의 변화에 임신 결과로 인해 모든 자궁 인대 들이 정상 길이의 4배 이상 확대 팽창 하는 것이다.
2)호르몬의 변화가 있다
3)복부 장기에 가스가 차는 문제가 있다
4) 복부의 액체로 인해 장기의 팽압이 있다


장기의 가동의 변화가 이루어진다
1)2차적 으로 오는 유착 이나 저항이 있다
2)감염과 수술의 이유가 있다
3)외상이나 근육의 경련이 있다


장기의 기능에는 변화 있지만 제한은 없는 경우가 있다
1)방광염,장염,전립선염과 같은 장기에 염증이 있다
2)요도에 감염이 된다
3)자궁 내막증 있다
4)유섬 유종/종양/낭종 이 있을 수 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고등학생 영양제 틴맥스(Teenmax) 내돈내산 솔직 후기|틴맥스정 성분, 부작용, 먹어도 될까?

🧊여름밤 숙면템! 까사리빙 냉감패드 솔직 후기 & 구매 가이드🛏️

🧴 [내돈내산] 아이레놀 쌩얼크림 솔직 리뷰-“바르는 순간 민낯처럼? 2주 사용해보니 느껴진 진짜 변화!”